input() 함수
주로,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을 때 사용되는 함수이다.
input()을 호출하면,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기 전까지는 프로그램 실행이 잠시 중단된다.
사용자가 입력을 마친 후에는, 다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input("사과의 가격을 입력하세요: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사과의 가격을 입력하세요: '라는 문구가 나타나며, 값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int(), float(), str() 함수
파이썬에서 변수는 모든 타입의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파이썬은 모든 것이 객체 타입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이썬에서 모든 변수는 모두 객체이다.
그렇기에 변수의 타입을 지정 또는, 바꿔주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함수들이 존재한다.
int() 함수
먼저 int() 함수는, 값을 정수로 변환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이다.
주로,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되어진다.
int(input("사과의 개수를 입력하시오: "))
위의 코드는,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받은 숫자를, int()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이 아닌 정수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파이썬에서 input()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값은 모두 문자열 형식으로 저장된다.)
float() 함수
float() 함수는, 값을 실수로 변환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이다.
주로,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되어진다.
float(input("반지름의 길이를 입력하시오: "))
위의 코드도 마찬가지로,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받은 숫자를, float()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이 아닌 실수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str() 함수
str() 함수는, 값을 문자열 형식으로 변환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이다.
주로,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되어진다.
a = "예디"
b = "1"
print(a + str(b))
위의 코드는, b가 정수타입이기 때문에 a + b로 연산하게 되면, a 와 b 의 타입이 달라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b를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해 줌으로써, 문자열 + 문자열 이 만나게 되어,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type() 함수
type() 함수는, 데이터 타입을 확인 할 수 있는 함수이다.
주로, 아래의 코드처럼 타입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되어진다.
a = 100 # 100은 정수이므로, a는 int 타입이다.
type(a)
# 실행결과: <class 'int'>
b = 1.23 # 1.23은 실수이므로, b는 float 타입이다.
type(b)
# 실행결과: <class 'float'>
c = "예디" # '예디'는 문자열이므로, c는 str 타입이다.
type(c)
# 실행결과: <class 'str'>
'파이썬(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0) | 2023.01.10 |
---|---|
[Python] 반복문 (for문, while문) (0) | 2023.01.09 |
[Python] 이스케이프 문자 (0) | 2023.01.08 |
[Python] 산술연산자 함수 정리 (0) | 2022.09.02 |
[Python] 변수와 상수 차이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