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기계학습]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이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이란? 머신러닝 즉,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컴퓨터가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다.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매개변수'를 찾는 작업인 것이다. (여기서 '학습'이란,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나 그 잠재력의 변화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기계학습이 푸는 문제는 매우 복잡하여 단순한 수학 공식으로 표현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자동으로 문제를 풀기 위해 적합한 모델을 찾아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계가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데이터가 많으면 많을수록 추정 정확도가 높아진다... 2023. 1. 10.
[Python]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지역변수(Local Variable)'란? 지역변수란, 함수의 내부에 선언된 변수를 의미한다. 이는 함수 내부에 정의된 변수이기에, 함수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이는 함수가 호출될 때 생성되며, 함수가 종료되면 소멸되어 사용이 불가능하다. (변수의 유효 범위) 이러한 지역변수의 간단한 사용예시는 아래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def name(): >>> x = "예디" >>> print(x) >>> name() 예디 '전역변수(Global Variable)'란? 전역변수란, 함수의 외부에 선언된 변수를 의미한다. 이는 함수 외부에 정의된 변수이기에, 함수 밖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역변수의 간단한 사용예시는 아래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def name(): >>> print.. 2023. 1. 10.
[Python] 반복문 (for문, while문) '반복문'이란? 특정 작업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나타내도록하는 명령문이다. 대표적인 반복문으로는 'for문' 과 'while문' 이 있다. for문 for문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는 구조이다.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for + 변수 + in + 시퀀스 (리스트처럼 요소들을 갖고 있는 객체) : + 반복 문장 (들여쓰기 필수) 즉, 주로 아래 코드처럼 사용되어진다. >>> for x in range(4): >>> print("안녕") 안녕 안녕 안녕 안녕 위의 코드에 사용된 'range()' 함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range() 함수 range() 함수는 특정 구간의 정수들을 생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함수이다. range() 함수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range([.. 2023. 1. 9.
[Python] 이스케이프 문자 '이스케이프 문자'란? 이스케이프 문자란, 뒤따르는 문자의 뜻을 바꾸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특수문자이다.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는 아래와 같다. 이스케이프 문자 출력되는 문자 \\ 백슬래시(\) \' 작은 따옴표(') \" 큰 따옴표(") \n 줄 바꿈 \t 탭 사용 예시 백슬래시 출력 >>> sentence = "This is \\." >>> print(sentence) This is \. 작은 따옴표 출력 >>> sentence = "don\'t touch me" >>> print(sentence) don't touch me 큰 따옴표 출력 >>> sentence = "He said \"Hello\"" >>> print(sentence) He said "Hello" 줄 바꿈 >>> sen.. 2023. 1. 8.
[Python] 산술연산자 함수 정리 '연산자(Operand)'란? 연산자(operand)란,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를 의미한다. '산술연산자'란? 산술 연산자란, 대표적으로 '덧셈, 뺄셈, 곱셈(지수), 나눗셈(나머지)'의 사칙연산을 실행하는 연산자를 의미한다. 각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덧셈 덧셈은 + 기호를 사용하며,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된다. print(1+2) # 결과값: 3 뺄셈 뺄셈은 - 기호를 사용하며,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된다. print(10-5) # 결과값: 5 곱셈 곱셈은 * 기호를 사용하며, 아래의 코드처럼 사용된다. print(10*5) # 결과값: 50 지수(Power) 지수를 구할때는, 곱셈의 기호인 * 을 두번 사용한 ** 기호를 사용한다. 또는, pow() 함수를 사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지수.. 2022. 9. 2.
[Python] input(), int(), float(), str(), type() 함수 정리 input() 함수 주로,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을 때 사용되는 함수이다. input()을 호출하면,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기 전까지는 프로그램 실행이 잠시 중단된다. 사용자가 입력을 마친 후에는, 다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input("사과의 가격을 입력하세요: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사과의 가격을 입력하세요: '라는 문구가 나타나며, 값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int(), float(), str() 함수 파이썬에서 변수는 모든 타입의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파이썬은 모든 것이 객체 타입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이썬에서 모든 변수는 모두 객체이다. 그렇기에 변수의 타입을 지정 또는, 바꿔주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함수들이 존재한다. int() 함수 먼저 int() 함수는, 값을 정.. 2022. 8. 30.
[Python] 변수와 상수 차이 변수(Variable)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문자열, 정수, 실수, 수식, 다른 변수의 값 등의 데이터들도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파이썬에서는, 모든 것이 객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파이썬에서 모든 변수는 객체이다. 이러한 변수에는 값을 얼마든지 저장하고, 바꿀 수 있다. ex) 변수 name에, "예디"라는 값을 저장하라고 설정하고, 변수를 출력해보는 코드 # '='연산자는, 같다는 것이 아니라,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name = "예디" print(name) # 실행 결과값: 예디 상수(Constant) 상수는, 항상 똑같은 값을 저장하고 있는 변수로, 한번 저장된 변수는 다시 변경이 불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작성하기 때문에, 상수를 사용할.. 2022. 8. 29.